Daily Life of BlueRose

학업 & 업무 공부/약리학

콜린성 약물

푸른로즈 2023. 5. 14. 03:19
728x90

여는 글

콜린성 약물은 임상에서는 주요 약물 보다는 보조약물로 많이 보았던 것 같네요. 

 

금연보조제로 사용하는 챔픽스는 거의 외래 처방용으로만 본 것 같습니다. 

 

임상에서 직접적으로 본 약은 대부분 치매치료용으로 사용되는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였던것 같네요.

 

군대에서 옥심을 보면서 Pralidoxime이지 않을까 생각을 많이 해봤는데, 검색해보니 맞아서 너무 신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다만, 다른 약물에 비교해보면, 임상에서 이 계통의 약은 다양하게는 못보는 것 같네요.

 

 


 

 

 

콜린성 약물

콜린성 약물의 개요

  • 개요
    • 콜린성 신경에는 모든 자율신경의 절전신경, 부교감신경의 절후신경 및 골격근에 분포된 체신경이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콜린성 약물이라고 할때는 콜린성 신경중에서 신경절후 부교감신경이 분포된 주효장기의 기능을 항진 또는 억제시키는 약물 즉,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작용하는 무스카린성 약물을 말한다.
    • 자율신경절과 골격근에 있는 수용체는 니코틴성 수용체로써 무스카린성 수용체와는 그 성상이 차이가 있으며, 이에 작용하는 약물 역시 각각 고유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콜린성 수용체의 분류

  • 아세틸콜린 : 아세틸콜린은 실제로 그 작용이 너무 광범위하고 Esterase에 의해 체내에서 순간적으로 파괴되기 때문에, 임상적 응용 가치는 제한된다. 그러나 수술후 부작용과 항콜린에스테라제의 약리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외워두도록하자.무스카린성 수용체는 장기에 두루 분포하며, 아세틸콜린에 의한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자극은 부교감신경자극효과와 같다.
    • 심혈관계 : 혈관확장(혈관내피의 M3수용체 -> Gq, PLC, IP3 -> Ca2+증가 -> eNOS활성 -> EDRF(NO)생성 -> 혈관평활근으로 확산), 심박수와 심근수축력 및 심근전도를 억제
    • 평활근 : 아세틸콜린은 기본적으로 장기의 평활근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수축력을 항진시킨다. 다만 혈관의 경우 eNOS활성화를 통해 NO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완된다.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흥분에 의해 기관지수축, 위장관운동항진, 방광배뇨근의 수축력증가, 수뇨관 연동운동 항진(단, 방광괄약근은 이완되어 배뇨를 촉진하게 됨), , 자궁 수축, 홍채괄약근수축으로 인한 축동, 모양근수축으로 인한 근거리초점화 등이 나타난다.
    • 외분비선 : 콜린성 신경이 분포된 모든 외분비선이 분비항진되어, 침, 눈물, 땀, 위액, 위산, 췌액, 기관지 분비물이 분비증가된다.
  • 콜린성 효현제(*아세틸콜린자체는 쉽게 분해되어 사라지지만, 그러한 단점을 보완한 효현제들이 생산되고 있다.)
    • Bethanechol : 무스카린성 수용체 효현제. 대개, 요정체의 해소나 GERD에서 식도의 긴장도 증가를 위해 사용됨. PO로 쓰임.
    • Pilocarpine : 무스카린성 수용체 효현제. 두경부암종의 치료시 혹은 타액선 기능저하시 나타나는 구강건조의 완화목적으로 사용.
    • Varenicline (Champix) : Nn수용체에 선택성을 보이는 효현제. 금연보조제로 사용되는 약물. 병원 금연클리닉을 찾게되면 반드시 보게될 약품 중 하나. 
  • 항 콜린에스테라제 약물 : 이 계통의 약물은 대부분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농약 또는 화학무기인 신경가스로서 주로 사용되며, 극히 일부 약물만이 임상에서 치료제로 쓰인다.
    • 항콜린에스테라제의 약리작용
      • 이들의 약리작용은 궁극적으로 ACh와 같으며, 약물의 화학적 구조 및 특성, 용량, 투여경로에 따라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작용은 눈, 골격근 및 소화관에 대한 것이다.
      • 눈 : 점안, 주사를 통해 홍채괄약근이 수축하여 축동되며, 모양근이 수축되어 초점이 근거리에 고정된다. 안압상승시 방수유출을 촉진하여 안압을 하강시킨다.
      • 골격근 : 소량에서는 신경근 전달을 촉진, 대량에서는 탈감작(Desensitization)으로 인해 신경-근 봉쇄가 나타난다. 제 4급 암모니움 화합물은 직접적으로 골격근을 수축시킨다.
      • 소화기계 : 위장관기능이 항진된다.
    • 비공유결합제제 : 수소결합, 이온결합을 통해 AChE와 결합한다.
      • Tacrine : 경증,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허가된 최초의 약물이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간기능 검사상 이상이 자주 나타나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3개월 이상 사용한 환자의 30%에서 SGPT가 3배정도 증가한다. 그러나 약을 끊으면 90% 이상의 경우 정상으로 회귀한다.(현재는 판매중단)
      • Donepezil[아리셉트] : 최근 알츠하이머병에 사용이 허가된 약물로서 인지능력을 비롯한 많은 임상증상이 개선되고 병의 진행도 지연시킨다.
    • 가역성 항 콜린에스테라제 약물 : 가역적인 공유결합을 이룬다. 주로 중증 근무력증 치료제와 축동제로 사용된다.
      • Rivastigmine(EXELON) : 최근에 개발되어 허가된 중추선택성, 장시간 작용성 약물이다. 3급 아민 화합물로써 BBB를 잘 통과하며, 대뇌와 해마에 존재하는 AChE에 대한 억제효과가 강하다. 알츠하이머와 파킨슨에 의한 치매증상의 치료에 쓰인다. 캡슐형제제와 패치형제제가 있다.
      • Galantamine(REMINYL) : 최근에 개발되어 허가된 장시간 작용성 약물로, 3급 아민화합물로써 BBB를 잘 통과하여 알츠하이머병에 주로 사용된다. 경구투여와 주사제의 두 가지가 있으나, 경구투여제제만 유통되고 있다.
      • Neostigmine : 합성화합물로, 피조스티그민의 대용으로 임상에서 쓰인다. 제4급 암모늄 화합물로써 BBB를 통과하지 못한다. 중증근무력증의 치료, 수술후의 배뇨곤란, 마비성장폐색등에 쓰이나, 주사용 제제는 단 한종류만 유통되고 있고, 대부분에서는 점안액의 보조성분으로만 쓰이고 있다.
      • Pyridostigmine : 네오스티그민에 비해 부작용은 적고, 골격근작용은 거의 같아서 중증근무력증의 치료에 쓰인다. 네오스티그민에 비해 더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 불가역성 항 콜린에스테라제 약물(*유기인 화합물로써 안과를 제외하고는 임상적으로 거의 쓰이지 않음. Metrifonate만이 알츠하이머 치료제로서 임상시험중에 있다.)
    • 콜린에스테라제 활성화 약물 - Pralidoxime : 불가역적 항 콜린에스테라제 유기인 화합물과 AChE와의 결합은 강력하여 자연적인 가수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AChE는 영원히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데, Pralidoxime은 인산화된 AChE의 가수분해를 촉진하여 효소를 다시 활성화 시킨다. 군대에서 화생방 훈련시 사용하는 KMARK-1 주사기 두 가지 중 하나인 '옥심'이 바로 이 약품이다. 
반응형

'학업 & 업무 공부 > 약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근 봉쇄약물  (0) 2023.05.15
항 무스카린성 약물  (0) 2023.05.14
항 아드레날린성 약물  (0) 2023.05.14
아드레날린성 약물  (1) 2023.05.13
자율신경계와 신경전달  (0) 2023.03.20